<p style="text-align: center;" data-ke-size="size18"><b><span style="color: #006dd7;">정치개혁과 선거법 개악저지를 위한 제 정당-시민사회 토론회</span></b></p>
<p data-ke-size="size16"> </p>
<p><figure class="imageblock alignCenter" data-ke-mobileStyle="widthOrigin" data-filename="art_17005135902865_e83c76.jpg" data-origin-width="680" data-origin-height="407"><span data-url="https://blog.kakaocdn.net/dn/n5oeg/btsB7hSQIhG/hKJb1ikK2ip64LJ2dHjluk/img.jpg" data-lightbox="lightbox"><img src="https://blog.kakaocdn.net/dn/n5oeg/btsB7hSQIhG/hKJb1ikK2ip64LJ2dHjluk/img.jpg" srcset="https://img1.daumcdn.net/thumb/R1280x0/?scode=mtistory2&fname=https%3A%2F%2Fblog.kakaocdn.net%2Fdn%2Fn5oeg%2FbtsB7hSQIhG%2FhKJb1ikK2ip64LJ2dHjluk%2Fimg.jpg" onerror="this.onerror=null; this.src='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'; this.srcset='//t1.daumcdn.net/tistory_admin/static/images/no-image-v1.png';" data-filename="art_17005135902865_e83c76.jpg" data-origin-width="680" data-origin-height="407"/></span></figure>
</p>
<p style="text-align: justify;" data-ke-size="size16"> </p>
<p style="text-align: justify;" data-ke-size="size16"><span>2023</span><span>년 </span><span>11</span><span>월 </span><span>20</span><span>일 오전 </span><span>10</span><span>시 국회도서관 소회의실에서 </span><span>‘</span><span>정치개혁과 선거법 개악저지를 위한 토론회</span><span>’</span><span>가 열렸다</span><span>. </span><span>이 토론회는 전국비상시국회의가 주관하였으며</span><span>, </span><span>전국비상시국회의와 함께 </span><span>2024</span><span>정치개혁공동행동과 정의당</span><span>, </span><span>기본소득당</span><span>, </span><span>진보당</span><span>, </span><span>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</span><span>42</span><span>명이 공동주최하였다</span><span>. </span><span>토론회에는 토론자 뿐 아니라 비상시국회의 이부영 상임고문</span><span>, </span><span>조성우 운영위원장</span><span>, </span><span>한상희 참여연대 공동대표</span><span>(2024</span><span>정치개혁공동행동 공동대표</span><span>) </span><span>등 시민사회 인사들과 정대화 전 상지대 총장</span><span>, </span><span>허상수 전 성공회대 교수 등 학계 인사</span><span>, </span><span>우원식</span><span>, </span><span>김상희</span><span>, </span><span>이학영</span><span>, </span><span>강민정</span><span>, </span><span>허영</span><span>, </span><span>장철민</span><span>, </span><span>이탄희</span><span>, </span><span>양정숙 등 많은 국회의원들이 참석하였다</span><span>.</span></p>
<p style="text-align: justify;" data-ke-size="size16"> </p>
<p style="text-align: justify;" data-ke-size="size16"><span>이부영 전국비상시국회의 상임고문은 첫 번째 인사말을 건네며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까치밥에 비유하였다</span><span>. </span><span>힘센 정당이 모든 것을 먹으려 해서는 안 되며 연동형 비례대표제를 없애고 위성정당까지 만들려는 것은 극한적 대결정치를 재현하겠다는 것이라며 다당제로의 정치개혁을 발전시켜 나갈 것을 호소하였다</span><span>. </span><span>또한 여러 원내외 진보정당이 모인 이 자리가 개혁적 진보정당들의 선거연합이 준비되고 있음을 알리는 자리라고 밝혔다</span><span>.</span></p>
<p style="text-align: justify;" data-ke-size="size16"> </p>
<p style="text-align: justify;" data-ke-size="size16"><span>민주당을 대표해 우원식 의원은 인사말에서 민주당이 지난 정권 시절 시대적 과제를 달성하지 못한 것을 무게 있게 반성하며 국민의 민의에 따른 정치개혁을 추진할 것을 약속하였다</span><span>. </span><span>병립형으로의 퇴행과 위성정당이 반복되어서는 안 되며 큰 연합을 통한 선거승리를 모색할 것을 요청하였다</span><span>.</span></p>
<p style="text-align: justify;" data-ke-size="size16"> </p>
<p style="text-align: justify;" data-ke-size="size16"><span>김준우 정의당 비대위원장은 대한민국의 복합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다당제가 꼭 필요함을 강조하였고</span><span>, </span><span>용혜인 기본소득당 상임대표도 힘 있는 제</span><span>3</span><span>지대 뿐 아니라 </span><span>4,5,6</span><span>등도 국회에 진입하여 새로운 정치로 낡은 기득권 정치를 몰아낼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</span><span>.</span></p>
<p style="text-align: justify;" data-ke-size="size16"> </p>
<p style="text-align: justify;" data-ke-size="size16"><span>좌장을 맡은 김태일 전 장안대 총장은 다당제가 역사의 진보라며 이 보편적 과제를 다루는 자리임을 강조하고 토론을 시작하였다</span><span>. </span><span>발제에 나선 하승수변호사는 민주당 안에 병립형으로의 퇴행 우려가 커지고 있다며 세 가지 질문을 던졌다</span><span>. </span><span>①</span><span>‘</span><span>국민의 약속</span><span>’</span><span>과 </span><span>‘</span><span>국힘과의 야합</span><span>’ </span><span>중 무엇을 택할 것인가</span><span>? </span><span>②</span><span>촛불의 성과를 지킬 것인가</span><span>, </span><span>촛불 이전으로 퇴행할 것인가</span><span>? </span><span>③</span><span>기득권 지키기에 골몰할 것인가</span><span>? </span><span>정권심판과 정치개혁의 역동적 융합을 일으킬 것인가</span><span>? </span><span>민주당은 국민과의 약속을 지키며 촛불의 성과를 지켜 정권심판과 정치개혁의 역동적 융합을 일으켜야 한다는 것이었다</span><span>.</span></p>
<p style="text-align: justify;" data-ke-size="size16"> </p>
<p style="text-align: justify;" data-ke-size="size16"><span>첫 번째 토론에 나선 이양수 민주노총 정치위원장은 발제자의 의견에 전적으로 동의하며 윤석열정권이라는 거악에 맞서 전체 국민들과 민주진보세력이 함께 힘을 모아야 한다며 민주당의 결단을 요구하였다</span><span>. </span><span>다음 토론에 나선 이태호 참여연대 운영위원장은 지금 국민들이 정치에 대한 마음이 싸늘히 식어 있으며 그 첫째 원인은 민주당이 혼자 먹으려고 지난 총선에서 위성정당을 통해 연합정치의 틀을 깬 것이라고 강하게 비판하였다</span><span>. </span><span>또한 정의당도 지난 총선에서 민주당이 위성정당으로 가는 것을 막지 못한 책임이 있다며 내년 총선에서 진보정당들의 전략적 연대를 주문하였다</span><span>.</span></p>
<p style="text-align: justify;" data-ke-size="size16"> </p>
<p style="text-align: justify;" data-ke-size="size16"><span>민주당을 대표하여 토론에 나선 민형배 국회의원은 발제자와 이태호위원장의 발언을 뼈아프게 받아들인다면서도 민주당 내부에 현실과 이상 간의 갈등과 고민이 있음을 밝혔다</span><span>. </span><span>민의원은 앞으로 국회의원이 선거제도를 결정하도록 해서는 안 된다며 지역구와 비례의석을 </span><span>1:1</span><span>로 하는 완전연동형을 주장하였다</span><span>. </span><span>또한 국민의힘 의석 최소화를 위한 연합정치의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도록 정당과 시민사회가 함께하는 실무회의를 요청하였다</span><span>.</span></p>
<p style="text-align: justify;" data-ke-size="size16"> </p>
<p style="text-align: justify;" data-ke-size="size16"><span>정의당 이은주 국회의원은 대화와 타협이라는 정치의 본령이 실종되었으며 이의 가장 큰 피해자는 힘없고 가난한 시민들임을 강조하였다</span><span>. </span><span>양당의 적대적 공생관계를 극복하기 위해 병립형으로의 후퇴와 권역별 비례대표제 도입 논의를 당장 멈출 것을 요구하며</span><span>, </span><span>이번 토론회에 함께한 진보정당들과 민주당 의원들이 연대의 틀을 만들어 나갈 것을 요청하였다</span><span>. </span><span>진보당 강성희 국회의원은 민주당의 과욕이 국민의힘을 키우고 윤석열정권을 출현시켰다며 연합정치는 선거법논의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</span><span>.</span></p>
<p style="text-align: justify;" data-ke-size="size16"> </p>
<p style="text-align: justify;" data-ke-size="size16"><span>오준호 기본소득당 공동대표는 지역구와 비례의석을 </span><span>2:1</span><span>로 하는 </span><span>360</span><span>석으로의 완전연동형을 주장하며 민주당의 야합이 이루어진다면 국민의 신뢰를 잃을 것이고 촛불의 뜻을 배신하는 것이며 국민의 심판을 받을 것이라고 비판하였다</span><span>. </span><span>이준석신당</span><span>, </span><span>조국신당 등은 이전의 안철수 사례에서도 보인 바와 같이 병립형에서도 가능하다며</span><span>, </span><span>민주당은 비겁하게 자신을 설득해달라고 요구할 것이 아니라 결단해야 한다고 요구하였다</span><span>.</span></p>
<p style="text-align: justify;" data-ke-size="size16"> </p>
<p style="text-align: justify;" data-ke-size="size16"><span>김찬휘 녹색당 대표는 권역별비례대표 논의는 비례의석에 대한 봉쇄조항을 높이는 것이라고 강하게 비판한 후 지난 민주당 정권 하에서의 기후위기 대응 정책 후퇴도 지적하였다</span><span>. </span><span>봉쇄조항을 낮추고 정치다양성을 보장할 것을 주장하며 민주당 내의 개혁적 의원들이 힘을 키우는 방법은 민주당 의석을 늘리는 것이 아니라 당 밖의 개혁의원</span><span>, </span><span>녹색의원들을 늘리는 것이라고 주장하였다</span><span>. </span><span>마지막 토론자로 나선 정호진 의원은 연합정치의 실패가 윤석열 정권을 탄생시켰다며 윤석열정권의 의석을 줄이는 것이 핵심 목표이고 이를 위한 연대의 정치를 요청하였다</span><span>.</span></p>
<p style="text-align: justify;" data-ke-size="size16"> </p>
<p style="text-align: justify;" data-ke-size="size16"><span>김태일 총장은 토론회의 핵심 의제를 </span><span>“</span><span>첫째</span><span>, </span><span>민주당을 어떻게 설득하고 압박할 것인가</span><span>? </span><span>둘째</span><span>, </span><span>진보정당들은 어떻게 연합할 것인가</span><span>? </span><span>셋째</span><span>, </span><span>시민사회는 어떤 역할을 할 것인가</span><span>?”</span><span>로 정리하였다</span><span>.</span></p>
<p style="text-align: justify;" data-ke-size="size16"> </p>
<p style="text-align: justify;" data-ke-size="size16"><span>마무리 발언에서 발제자 하승수변호사는 국민과 야당들의 신뢰를 얻는 것이 민주당이 얻을 수 있는 가장 큰 효능감이라고 강조였다</span><span>. </span><span>토론자들도 연대연합 정치를 만들어 나갈 것에 동의하며 오늘과 같은 자리를 계속 만들어 나갈 것을 요청하였다</span><span>.</span></p>
<p style="text-align: justify;" data-ke-size="size16"><span>끝으로 민주당을 대표하여 이학영의원은 진보정당과 시민사회의 연석회의를 통해 민주당 밖에 연대할 대상이 있음을 알려달라고 요청하였고</span><span>, </span><span>조성우 전국비상시국회의 운영위원장은 다음 주에 </span><span>‘</span><span>진보정치연합을 위한 원탁회의</span><span>’</span><span>를 제안할 예정이라며 이에 응답하였다</span><span>. </span><span>또한 민주노총과 </span><span>4</span><span>개 진보정당</span><span>(</span><span>정의당</span><span>, </span><span>진보당</span><span>, </span><span>녹색당</span><span>, </span><span>노동당</span><span>) </span><span>논의가 곧 시작될 것이라는 것도 알렸다</span><span>.</span></p>
<p style="text-align: justify;" data-ke-size="size16"> </p>
<p style="text-align: justify;" data-ke-size="size16"><span>토론회는 예정시간을 훌쩍 넘겨 </span><span>2</span><span>시간이 넘게 진행되었으며 이후 주요 참가자들의 차담을 통해 이후의 행동계획에 대한 논의도 이어졌다</span><span>. </span><span>이 자리에서는 선거법 개악을 막기 위한 진보정치 연합의 필요성에 공감대를 이루었다</span><span>.</span></p>